죽령에서 본 저녁 산 풍경 일요일 하루 종일 가을 뒷설거지를 했다. 말라버린 고춧대와 화단의 꽃대들, 돼지감자 줄기, 가짓대, 토마토대를 걷어내고 정리하고 땀을 흘렸다. 늦은 오후 온천에나 가자며 나섰는데 소수서원을 지날 때 보니 나들이 나온 차들이 엄청나게 많다. 온천에 사람 너무 많은 것 아닌가 걱정.. 시골살이/시골집 짓고 시골 살기 2014.11.29
그리운 진주. 중앙시장 나들이 내 인생에서 가장 찬란한 순간이었던 여고와 대학 시절을 보낸 진주는길지 않은 시간임에도 늘 가장 그리운 곳으로 남아 있다. 이곳의 가을이 끝나갈 무렵 오랜 친구를 만나러 진주에 갔다. 여고 동창, 같은 과, 학보사라는 같은 공간에서 보낸 정말 오랜 친구. 밤늦도록 이야기를 나누다 .. 시골살이/시골집 짓고 시골 살기 2014.11.29
책을 사니 배가 부르구나. 도서정가제가 시행되기 전 반값에 책을 판다는 메일이 와서 별 기대 않고 목록을 살펴보니 의외로 좋은 책이 많았다. 친구와 나누어 사서 서로 바꿔 읽은 하루키의 책, 내게 있던 건데 지금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없는 책, 읽고 싶었는데 아직 못 산 책, 오래 전에 읽었는데 다시 읽고 싶어.. 시골살이/시골집 짓고 시골 살기 2014.11.29
고향나들이 거의 10년만에 고향마을에 들렀다. 부모님 돌아가시고 난 후엔 한번도 못가봤는데 아니 가보려고 생각도 안하고 살았는데 정말 늙는걸까? 오래 전 사진첩을 꺼내보다 고향마을을 가봐야겠다고 생각했다. 친한 친구 어머니가 돌아가셔서 창원으로 문상을 갔다가 선이와 산청에 갔다. 그녀.. 시골살이/시골집 짓고 시골 살기 2014.11.03
'꽃밭에서'의 원시 세종때 이조참판을 지낸 최한경이 성균관 유생으로 있을 때 지은 시라고 한다.어릴 때부터 사모했던 고향의 이웃처자 박소저를 그리워하며 자신의 일생을 기록한 반중일기(泮中日記)에 수록된 작품이라는데 조관우도 부르고,정훈희도 부른 “꽃밭에서”라는 노래로 다시 태어났다. 坐.. 시골살이/시골집 짓고 시골 살기 2014.10.13
2014년 마지막 사과 미야마부사 올해는 유난히 사과가 굵고 병해충도 거의 없어 흠과나 병과도 없다. 시나노스위트 사과를 낼 때부터 걱정이 대과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. 미야마부사는 선주문이 이미 오십박스가량 들어왔는데 그중 소과 주문이 많은데 소과가 거의 없다. 열흘 쯤 후면 수확해서 배송을 시작하는데 맛은.. 시골살이/사과농사 2014.10.12
단호박 스프 밤·잣 넣어 토스트와 먹으면 한끼 식사로도 만점 위에 탈이 나서 죽이나 스프를 먹어야 할 경우가 아니라면 스프만으로 식사를 때우기가 섭섭하다. 특히 푸짐하게 갈비나 삼겹살 등을 먹고도 밥과 찌개로 마무리를 해야 제대로 식사를 했다는 느낌이 드는 한국인들은 더 그렇다. 아마도 탄수화물이 주성분인 밥을 먹어야 에너지를 얻는.. 시골살이/건강한 삶 2014.08.29
송내관의 궁궐이야기 연수를 듣고 조선역사상 가장 안타까운 순간은 돈화문이 열리며 시작된 인조반정 우리 역사에 관심이 많아서 어릴 때부터 역사책을 많이 읽었다. 아버지가 보시던 왕비열전, 야사 조선왕조실록(이조실록이라고 기억함) 등 주변에 역사적 안목을 길러 줄 수 있는 스승이 없었던 나는 아버지가 들려주.. 시골살이/시골집 짓고 시골 살기 2014.07.01
아이들이랑 뒷산에 올랐다. 옆반 6학년을 담임인 후배가 과학행사에 아이들을 데리고 출장을 가서 5,6학년 체육시간에 남은 아이들을 데리고 학교 뒤 비봉산에 올라갔다. 날은 더웠지만 구름이 끼어 햇볕이 따갑지 않아서 걷기에 좋았다. 처음엔 맨 앞에서 올라가다 보니 저멀리 재균이가 영 뒤로 쳐지는 것이 보여 .. 시골살이/시골집 짓고 시골 살기 2014.05.14
2014년 4월의 우리집 풍경 집을 짓고 만 삼년이 지났다. 이제는 집 주변의 삭막한 풍경도 약간은 촉촉해지고 특히나 이맘때는 꽃대궐이 되어 우리 집이 참 좋아진다. 작년에 찍지 못한 자두꽃이다. 사과꽃은 아직 피지 않았고 아쉽게도 올해는 꽃이 일찍 피어 홍매화 홍도화 백도화 벚꽃은 이미 져버렸다. 시골살이/시골집 짓고 시골 살기 2014.04.14